맞습니다. 종종 사기로 오인 되기도 하고 또 이 업계를 바라보는 시각이 결코 곱지는 않은 블록체인 관련 업계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이 업계에서 일하기 시작한 다음 사람들을 만나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을 설명하기 쉽지 않음을 느끼곤 합니다. ‘맘 팩터'라는 말이 있는데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을 보호자에게 설명할 수 없다면 그 일이 잘 정의되지 않았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런데 지금은 보호자는 고사하고 이전까지 함께 게임 만들던 사람들에게 설명하기조차 쉽지 않으니 뭔가 문제가 있다는 생각을 합니다.
기존 게임과 똑같지만 또 아주 조금 다릅니다. 겉보기에는 전통적인 게임과 다른 점이 없습니다. 다만 게임으로부터 생산된 자원이나 성장 시킨 결과물이 블록체인을 통해 게임 외부에서 소유되고 거래될 수 있습니다. 이 간단해 보이는 요구사항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게임 경제가 게임 외부의 경제요소에 연결되면서도 전통적으로 닫힌 경제로 설계해 유지하던 게임 경제를 외부에 열려 있으면서도 망가지지 않도록, 혹은 최소한만 망가지도록 설계해야 하고 또 게임의 여러 성장 요소가 게임으로부터 통제 받지 않는 경로를 통해 유입될 수 있음을 감안해야 하는 상황에 놓입니다.
이를 설명하려고 하면 인게임 구성요소를 실질적으로 소유할 수 있다는 지점으로부터 시작해야 하는데 대체로 전통적인 고객들은 인게임 구성요소의 사용을 허가 받은 상태와 실질적으로 소유하는 상태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이를 구분하지 않아도 제작사의 묵인 하에 인게임 구성요소를 판매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에 조인하신 팀원님께 이런 저런 사항을 설명하다가 문득 우리가 별 생각 없이 사용하는 용어가 지나치게 블록체인 중심적인 세계관을 드러내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블록체인 관련 업계는 처음 생긴 이후 인류가 지금까지 겪어 온 경제학의 발달사를 짧은 시간 안에 반복하고 있는 것 처럼 보입니다. 블록체인 업계 사람들이 마치 처음 발견한 것처럼 행동하는 여러 현상이나 대응 방법들은 물물교환이 시작된 선사시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온갖 시행착오를 겪으며 발달해 와 이미 세계에 존재하는 것들입니다. 그럼에도 블록체인 업계에 계시는 분들을 보면 종종 그런 요소를 블록체인 경제로부터 처음 일어난 현상과 처음 발명한 해결책이라는 느낌으로 접근해 어리둥절 하곤 합니다.
한번은 경제시스템을 설계할 때 하수구의 중요성에 대해 역설하는 분을 봤습니다. 초기 블록체인 게임들은 게임에 통용되는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발행해 보상으로 지급하지만 이를 활용할 곳을 충분히 신경 쓰지 않곤 했습니다. 게임에 고객이 유입되는 동안에 이런 체계는 별로 이상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신규 고객 유입이 더뎌지는 순간 토큰의 가치가 폭락하는 폰지 스팀 형태였습니다. 이 시대를 겪은 사람들은 토큰을 소각할 이른바 하수구 메커니즘의 필요성을 깨달아 만나는 게임 경제를 설계할 사람마다 그 중요성을 설파 하곤 했는데 하수구의 중요성은 전통적인 업계에서 지난 20년 넘는 세월에 걸쳐 고민해 온 요소입니다. 그래서 이제 와서 블록체인 업계를 통해 게임에 관여하시는 분들로부터 이런 이야기를 들으면 어떻게 대답해야 할 지 결정하기 쉽지 않습니다.
같은 맥락에서 세상의 여러 요소를 블록체인 중심적으로 표현하곤 하는데 대표적으로 ‘온체인’과 ‘오프체인’이 있습니다. 이 업계에서 일하며 스스로도 별 생각 없이 이 말을 사용해 왔는데 새로 오신 분께 이 용어를 사용해 설명하다가 잘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을 맞이했습니다. 이 용어가 가리키는 바를 다시 설명하다 보니 온체인은 블록체인 상에 기록되는 뭔가를 의미하고 오프체인은 블록체인과 관계 없는 뭔가를 의미하지만 이 블록체인 중심적 용어는 두 가지 요소 모두가 블록체인에 의해 제어될 것 같은 뉘앙스를 풍기고 있었습니다. 정확히는 블록체인에 기록되는 뭔가와 기록되지 않는 뭔가가 있을 뿐인데 이를 온체인과 오프체인이라고 말하면 혼선이 있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한편 웹2와 웹3 역시 비슷한 맥락의 사례라고 생각합니다. 웹 2.0은 한때 서비스 제공자가 단방향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웹 서비스를 사용자가 참여해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는 형태의 웹 서비스를 지칭하는 말입니다. 이 용어를 확장해 웹3은 종종 온라인 상에 고객이 만들어낸 컨텐츠를 고객이 소유할 수 있음을 추가한 개념이지만 근본적으로 이 개념은 웹의 발전 선상에 있지 않습니다. 단적으로 3이라는 숫자를 붙일 수도 없고 심지어 근본적으로 웹도 아닙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에 호환성을 갖는 게임을 ‘웹3 게임’이라고 부르는데 상당한 거부감이 있습니다.
앞에서 소개한 ‘온체인’과 ‘오프체인’ 사례처럼 ‘웹2’와 ‘웹3’ 역시 지나치게 블록체인 중심적 사고방식에 의한 단어라는 생각이 들었고 블록체인 중심적으로 사고 하지 않는 이상 이 용어가 의미하는 바를 쉽게 이해할 수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블록체인에 호환성을 가지는 게임을 개발하고 있고 팀 안에서는 여전히 이런 단어를 사용해 맥락을 설명하겠지만 팀 밖에 있는 분들께 설명할 때는 이 단어들을 최대한 사용하지 않고 이 단어가 의미하는 바를 항상 풀어서 설명하려고 합니다.